목록전체 글 (317)
엔지니어가 되고 싶은 공돌이
5. 1. 삼각함수(Trigonometric Functions) - OP = r 이고, 점 P(x, y)에 대하여 동경 OP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일반각을 θ라 할 때, sin θ = y / r. cos θ = x / r. tan θ = y / x. csc θ = 1 / sin θ = r / y. sec θ = 1 / cos θ = r / x. cot θ = 1 / tan θ = x / y. - 삼각함수의 부호(Sign of Trigonometric Functions). 1) θ가 제 1사분면의 각이면 -> all +. 2) θ가 제 2사분면의 각이면 -> sin θ, csc θ 만 +. 3) θ가 제 3사분면의 각이면 -> tan θ, cot θ 만 +. 4) θ가 제 4사분면의 각이면 -> c..
4. 1. 각도(Angle) - 각도(Angle)는 고정된 시작하는 선 시초선(Initial Line)으로부터, 움직이는 반 직선 동경(Radius Vector)까지의 회전한 양을 말한다. - 시계바늘이 도는 반대방향을 양의 방향(+), 시계바늘이 도는 방향을 음의 방향(-)이라 부른다. - x축과 y축은 좌표평면 상에서 어느 사분면에도 속하지 않는다. - 일반각(General Angle) : 360° X n + a (n is integer & 0 ≤ a < 360°). 1) 580° = 360° X 1 + 220° (제 3사분면의 각). 2) -700° = 360° X -2 + 20° (제 1사분면의 각). - 두 동경의 위치관계(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a..
3. 1.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(Limits of Exponential and Logarithmic Functions) - a > 1일 때, lim (x → ∞) ax = ∞ , lim (x → -∞) ax = 0. - 0 1일 때, lim (x → 0+) loga x = -∞ , lim (x → ∞) loga x = ∞. - 0 < a < 1일 때, lim (x → 0+) loga x = ∞ , lim (x → ∞) loga x = -∞. 3. 2. 무리수 e와 자연로그(Irrational Number e and Natural Logarithm) - lim (x → ∞) (1 + 1/x)x ..
2. 1. 로그함수와 그래프(Logarithmic Function and Graph) - y = loga x (a > 0, a ≠ 1, x > 0). - y = ax 의 역함수이다. ( a > 1 ) ( 0 y = log..
1. 1. 지수함수와 그래프(Exponential Function and Graph) - y = ax (a > 0, a ≠ 1). ( a > 1 ) ( 0 y = a(x-p) + q. - y = ax 그래프를 x축 대칭이면 y = -ax , ..
8. 1. 부정적분(Indefinite Integral) - 적분은 미분의 역연산이다. - F(x)의 도함수가 f(x) 일 때, F(x)를 f(x)의 부정적분(Indefinite Integral)이라 부른다. - 적분의 기호로 ∫ (integral) 을 사용한다. - ∫ f(x)dx = F(x) + C. 여기서 dx는 x를 기준으로 적분한다는 걸 의미하고, x를 적분변수(Integral Variable), C는 적분상수(Integral Constant)라 부른다. - 부정적분과 미분의 관계(Relationship between Indefinite integral and Differential). 1) ∫ {d/dx f(x)} dx = f(x) + C. → 미분하고 적분하면 기존의 식 + C. 2) d/d..
7. 1. 함수의 극대와 극소(Local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a Function) - 함수의 극대와 극소(Local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a Function). 1) x = a의 좌우에서 f(x)가 증가상태에서 감소상태로 바뀔 때, f(x)는 x = a에서 극대(Local Maximum)라 하고, f(a)를 극댓값이라 부른다. 2) x = b의 좌우에서 f(x)가 감소상태에서 증가상태로 바뀔 때, f(x)는 x = b에서 극소(Local Minimum)라 하고, f(b)를 극솟값이라 부른다. - 극댓값과 극솟값을 합쳐서 극값(Local Extrema)이라 부른다. - y = f(x)에서 x = a에서 미분가능하고 x = a에서 극값을 가지..
6. 1. 접선의 방정식(Equation of Tangent Line) - y = f(x)에서 접점 (a , f(a))에서의 접선의 방정식. y = f’(a)(x - a) + f(a). - 기울기 m만 주어졌다면 접점을 미지수 (t , f(t)) 로 놓고 f’(t) = m 을 이용해 접점의 좌표를 구한다. - 곡선 밖의 한 점이 주어졌다면 접점을 미지수 (t , f(t)) 로 놓고, 접선의 방정식 y = f’(t)(x - t) + f(t)를 세운 다음 곡선 밖의 한점을 접선의 방정식에 대입한다. - y = f(x)에서 접점 (a , f(a))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. y = - 1/f’(a) X (x - a) + f(a). - 두 곡선의 공통접선(Common Tangent of Two Curv..
5. 1. 미분계수(Differential Coefficient) - 평균변화율(Average Rate of Change): 함수 f(x)에서 x의 값이 a에 b까지 변할 때, Δy / Δx 를 구간 [a, b]의 평균변화율이라 부른다. Δy / Δx = ( f(b) – f(a) ) / (b – a) = ( f(a + Δx) – f(a) ) / Δx. - 평균변화율은 두 점 (a, f(a)), (b, f(b))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같다. - 미분계수(Differential Coefficient): 함수 f(x)에서 x = a에서의 미분계수 f’(a) 는 f’(a) = lim (Δx → 0) ( f(a + Δx) – f(a) ) / Δx . = lim (h → 0) ( f(a + h) – f(a) ..
4. 1. 함수의 연속(Continuation of Functions) - 함수 f(x)가 x = a에서 연속이기 위한 조건(Conditions for f(x) to be continuous at x = a). 1) f(a) 가 존재. 2) lim (x → a) f(x) 가 존재. 3) f(a) = lim (x → a) f(x). - a ≤ x ≤ b = [a, b] , a ≤ x < b = [a, b) , a