엔지니어가 되고 싶은 공돌이
17. 편도함수(Partial Derivative) 본문
17. 1. 다변수 함수(Function of Several Variables)
- y = f(x) 처럼 이변수 함수(Function of Two Variables)와는 달리, z = f(x, y) 처럼 3개 이상의 변수로 구성된 함수를 다변수 함수(Function of Several Variables)라 부른다.
- 이변수 함수를 2차원 좌표계에 표현하듯 삼변수 함수는 3차원 좌표계에 표현할 수 있다.
- 다변수 함수에서도 극한(Limit)을 정의할 수 있다.
lim ( (x, y) → (a, b) ) f(x, y) = A.
- (x, y)에서 (a, b)로 가능 경로는 무수히 많은데 경로 C1 과 경로 C2 로 갔을 때의 극한 값이 서로 같다면 극한 값이 존재(Convergence)하고, 서로 같지 않다면 극한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(Divergence).
- 다변수 함수에서도 (a, b)에서 Limit Value = Function Value 가 같으면 그 점에서는 Continuity이다.
17. 2. 편도함수(Partial Derivative)
- 편도함수(Partial Derivative, ∂): 함수가 다변수 함수 일 때, 한 변수만을 변수라 생각하고, 나머지 변수는 상수로 생각하여 미분하는 방법.
- fx (x, y) = lim (h → 0) ( f(x + h, y) – f(x, y) ) / h.
- fy (x, y) = lim (h → 0) ( f(x, y + h) – f(x, y) ) / h.
- fx (x, y) = fx = ∂f / ∂x.
- fy (x, y) = fy = ∂f / ∂y.
- 이계 편도함수(Second Partial Derivative)
1) fxx -> f를 x에 관하여 편미분하고, x에 관하여 한번 더 편미분한다.
2) fxy -> f를 x에 관하여 편미분하고, y에 관하여 한번 더 편미분한다.
3) 클레로의 정리(Clairaut’s Theorem): fxy (a, b) = fyx (a, b).
17. 3. 전미분(Total Differential)
- 미분가능성(Differentiability): 두 편도함수 fx와 fy가 (a, b)에서 존재하고, (a, b)에서 연속일 때, f는 (a, b)에서 미분이 가능하다.
- 전미분(Total Differential): z = f(x, y)에서 dz를 구하는 방법.
dz = fx dx + fy dy. = ( ∂z/∂x ) dx + ( ∂z/∂y ) dy.
17. 4. 이중적분(Double Integral)
- 3변수 함수에 대해서 적분을 적용할 수 있다.
∫ab∫cd f(x, y) dydx -> y에 대하여 먼저 적분하고, x에 대하여 적분을 수행한다.
- 푸비니의 정리(Fubini’s Therorem): ∫ab∫cd f(x, y) dydx = ∫cd∫ab f(x, y) dxdy.
'Mathematics > Calculu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6.내적, 외적(Cross Product, Inner Product) (0) | 2024.07.21 |
---|---|
15. 매개곡선, 좌표공간(Parametric Curve, Coordinate Space) (0) | 2024.07.19 |
14. 테일러 급수와 매클로닌 급수(Talyor Series and Maclaurin Series) (0) | 2024.07.18 |
13. 적분판정법과 비교판정법(Integral Test and Comparison Test) (0) | 2024.07.18 |
12. 수열, 급수(Sequence, Series) (0) | 2024.07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