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2025/04 (3)
엔지니어가 되고 싶은 공돌이

6. 1. Error Diffusion(오차 확산) - Dithering 과정에서 원래 그레이 값과 양자화된 값 사이에 오차가 발생하게 됩니다. 이러면 output image에서 원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, 오차를 이웃한 화소에 확산시킵니다. ex) Binary Image에서 0과 255의 인접한 곳에는 오차가 작고, 128 주변은 오차가 크게 됩니다. - Floyd-Steinberg Error Diffusion 1) 좌측상단 화소부터 가로방향으로 화소 단위로 움직이면서 1행씩 처리합니다. 2) 양자화 전 오차 계산. 3) 오차를 오른쪽 및 아래쪽의 화소로 확산. 4) 양자화 수행. 오차확산 시 주의할 점> 1) 화소를 양자화 하기 전에 그 화소의 오차를 계산..

5. 1. Space Resolution - Space Resolution: Image 화소의 크기. - imresize(image, 1/2): Space Resolution 변경(1920 X 1080 Image -> 960 X 540 Imge). row, column 각각의 방향으로 1화소씩 생략(Even Number만 존재)합니다. - imresize(imresize(x, 1/4), 4) -> effective resolution이 1/4로 줄어듭니다. 5. 2. Quantization - Quantization: Pixel 1개를 표현하는 색상의 수. ex) 256 그레이 스케일에서 256개. - Uniform Quantization: Original Quantization의 범위를 지정해..

4. 1. Image Function - Space Resolution: 영상의 크기(Number of Pixels). - Quantization: 하나의 화소를 몇 개의 색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. - Quality: 주관적인 문제이며, Space Resolution과 Quantization으로 결정됩니다. - image(imread output variable); : Image Array의 값을 현재 Color Map에 맞추어 출력합니다. c = imread(~); image(c); colorbar(Output a Color Map); - Color Map: 임의의 수를 컬러로 바꿔주는 표. 1) default: 64X3의 컬러 값 / 사용자가 만들 수 도 있고 기존 컬러맵을 호출 할 수 도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