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< Index > (354)
엔지니어가 되고 싶은 공돌이

4. 1. 정현파(Sinusoidal Waveform): AC - 발전소에서 공급하는 전기는 Sinusoidal Waveform 형태의 전압과 전류이기에, 일반적인 전기신호는 Sinusoidal Waveform의 형태를 띕니다. - ω(Angular Velocity) = θ / t = 2π / T = 2πf. [rad / sec] - θ = ωt = 2πft = 2πt / T. - f(t)[Sinusoidal Waveform] = asinθ = asinωt = asin2πft. - cosωt = sin(ωt + π/2), sinωt = cos(ωt - π/2). 4. 2. 실효치(Effective Value) - AC Voltage: v = Vpsinωt. - AC Current: i = Ipsinωt..

3. 1. 옴의 법칙(Ohm’s Law) - I = V / R. Current는 Voltage에 비례하고, Resistance에 반비례합니다. 3. 2. 직렬회로(Series Circuits) - 직렬회로(Series Circuits):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오직 하나뿐인 회로. 1) Current: Series Circuits에 여러 개의 저항기가 있을 때,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모든 저항기에도 동일하게 흐릅니다. I = IR1 = IR2 = IR3. 2) Voltage: Series Circuits의 전압은 저항기에 나누어집니다. VS = VR1 + VR2 + VR3. 3) Resistance: : Series Circuits의 Composite Resistanc..

2. 1. 전류(Current) - 전류(Current): I = Q / t. [A -> Ampere] 1A는 1s동안 1C의 전하가 회로의 한 단면을 통과했을 때의 세기. - 전하량(Coulomb): 1C = 6.24 X 1018 Electron. - 전자는 음에서 양으로 흐르고, 전류는 양에서 음의 방향으로 흐르게 됩니다. - 교류(Alternating Current, AC): 전류의 방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교대로 변하는 전류. AC는 DC와 달리 V와 I 대신, v와 i를 사용한다. - 직류(Direct Current, DC): 전류의 방향이 바뀌지 않고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전류. (Direct Current Symbol , Alternating Current Symbol) 2. 2...

1. 1. 저항(Resistance) - 저항(Resistance): 도체 안에서 자유전자의 흐름을 억제하는 물질의 성질. - 저항기(Resistor): 저항의 특성을 가지는 소자. R = ρL / A [Ω]. [ρ: Resistivity, L: Length of Conducting Wire, A: Area of Conducting Wire] - 전도율(Conductance): 전자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정도. G = 1 / R [S -> Siemens]. - 고정저항(Fixed Resistor): 특정한 저항값으로 고정되어 생산되는 저항기. - 가변저항(Variable Resistor): 저항값을 임의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저항기. - 저항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EIA Color Code M..

17. 1. 메모리(Memory) - 메모리(Memory): 컴퓨터와 같은 장치에서 데이터와 명령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, 읽을 수 있는 기억소자. - Memory는 RAM(DRAM, SRAM)과 ROM(Mask ROM, PROM)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. 1) ROM(Read Only Memory): 전원이 꺼져도 지워지지 않는 고정된 정보를 기억할 때 사용하는 소자. - Mask ROM: 제조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ROM. - PROM(Programmable ROM): 제조된 후 사용자가 기록할 수 있는 ROM. Fuse-Link PROM: 한 번만 기록할 수 있는 PROM. EPROM(Erasable PROM): 자외선을 쪼아서 그 내용을 지운 후에 다시 기록할 수 있는 PROM. EE..

16. 1. 카운터(Counter) - 카운터(Counter): 입력되는 펄스의 수를 세는 소자. - 상향 카운터(Up Counter): 수를 세어 올라가는 Counter. - 하향 카운터(Down Counter): 수를 세어 내려오는 Counter. - 비동기식 카운터(Asynchronous Counter, Ripple Counter): 첫 번째 Flip Flop의 CP에만 Clock Pulse가 입력되고, 다른 Flip Flop은 각 Flip Flop의 출력을 다음 Flip Flop의 CP에 입력으로 사용합니다. - 동기식 카운터(Synchronous Counter): Counter에 있는 Flip Flop들이 공통의 Clock Pulse에 동시에 Trigger. 16. 2. 4-bit Asynch..

15. 1. 동기순서논리회로(Synchronous Sequential Logic Circuit) - 순서논리회로(Sequential Logic Circuit): 현재의 입력값과 이전 출력 상태에 따라 출력값이 결정되는 논리회로. - 동기순서논리회로(Synchronous Sequential Logic Circuit): 클록펄스가 들어오는 시점에서 상태가 변하는 회로. - 비동기순서논리회로(Asynchronous Sequential Logic Circuit): 입력이 변하는 순간에 따라 동작하는 논리회로. 15. 2. 동기순서논리회로의 해석(Analysis of Synchronous Sequential Logic Circuit) - 무어 머신(Moore Machine): Sequential Logic Ci..

14. 1. D Flip Flop - Gated D Flip Flop: SR Flip Flop을 변형하여, S = R = 1을 제거한 소자. ENDQ(t + 1)100111(Truth Table of D Flip Flop) - Characteristics Equation: Q(t + 1) = D. 14. 2. JK Flip Flop - Gated JK Flip Flop: J는 S에 K는 R에 대응하는 입력이고, J = K = 1 인경우, JK Flip Flop의 출력은 이전 출력의 보수상태로 바뀝니다. - Flip Flop에서 가장 많이 쓰입니다. ENJKQ(t + 1)100Q(t)10101101111Q’(t)(Truth Table of JK Flip Flop) - Characteristics Equ..

13. 1. SR래치(SR Latch) - 조합논리회로에서 출력은 현재 입력의 조합에 의해서만 결정되지만, 순서논리회로에서는 현재 입력의 조합과 입력이 인가되는 시점의 회로상태의 영향을 받아 출력이 결정됩니다. - 플립플롭(Flip Flop): Clock 에 따라 정해진 시점에서의 입력을 샘플하여 출력에 저장하는 동기식 순서논리소자. - 래치(Latch): Clock에 상관없이 모든 입력을 계속 감시하다가 언제든지 출력을 변화시키는 비동기식 순서논리소자. - Flip Flop and Latch도 Gate로 구성되지만 조합논리회로와는 다르게, Feedback이 존재합니다. - SR Latch는 S(Set), R(Reset)으로 표시된 2개의 입력과, Q, Q’으로 표시된 2개의 출력이 있으며, Q, Q’..

12. 1. 디코더와 인코더(Decoder and Encoder) 1) 디코더(Decoder): input n bit -> output 2n bit. - 인에이블(Enable): 함수 또는 회로를 동작하게 하는 입력. 0이 될수도 1이 될수도 있습니다. InputOutputBAY3Y2Y1Y0000001010010100100111000(2 X 4 Decoder) - Y0 = B’A’, Y1 = B’A, Y2 = BA’, Y3 = BA. - 실제 IC들은 AND Gate가 아닌 NAND Gate 로 구성됩니다. 2) 인코더(Encoder): input 2n bit -> output n bit. InputOutputD3D2D1D0B1B0000100001001010010100011(4 X 2 Encoder)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