엔지니어가 되고 싶은 공돌이
13. SR Latch, SR Flip Flop 본문
13. 1. SR래치(SR Latch)
- 조합논리회로에서 출력은 현재 입력의 조합에 의해서만 결정되지만, 순서논리회로에서는 현재 입력의 조합과 입력이 인가되는 시점의 회로상태의 영향을 받아 출력이 결정됩니다.
- 플립플롭(Flip Flop): Clock 에 따라 정해진 시점에서의 입력을 샘플하여 출력에 저장하는 동기식 순서논리소자.
- 래치(Latch): Clock에 상관없이 모든 입력을 계속 감시하다가 언제든지 출력을 변화시키는 비동기식 순서논리소자.
- Flip Flop and Latch도 Gate로 구성되지만 조합논리회로와는 다르게, Feedback이 존재합니다.
- SR Latch는 S(Set), R(Reset)으로 표시된 2개의 입력과, Q, Q’으로 표시된 2개의 출력이 있으며, Q, Q’은 서로 complement 가 되야 정상상태가 됩니다.
1) NOR Gate로 구성된 SR Latch.
S | R | Q(t + 1) |
0 | 0 | Q(t) |
0 | 1 | 0 |
1 | 0 | 1 |
1 | 1 | Denial |
- S = R = 1이면 Q = 0, Q’ = 0이 되므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됩니다.
2) NAND Gate로 구성된 SR Latch.
S’ | R’ | Q(t + 1) |
0 | 0 | Denial |
0 | 1 | 1 |
1 | 0 | 0 |
1 | 1 | Q(t) |
13. 2. SR Flip Flop
- Gated SR Flip Flop: NAND Gate SR Latch 앞에 2개의 NAND Gate를 연결하고, Enable 신호를 인가한 회로.
- EN = 0 이면, Flip Flop의 Output Q, Q’은 변하지 않습니다.
EN | Q(t) | S | R | Q(t + 1) |
1 | 0 | 0 | 0 | 0 |
1 | 0 | 0 | 1 | 0 |
1 | 0 | 1 | 0 | 1 |
1 | 0 | 1 | 1 | Denial |
1 | 1 | 0 | 0 | 1 |
1 | 1 | 0 | 1 | 0 |
1 | 1 | 1 | 0 | 1 |
1 | 1 | 1 | 1 | Denial |
(Truth Table of SR Flip Flop)
- Characteristics Equation: Q(t + 1) = S + R’Q(t), SR = 0.
- Flip Flop의 동작시간보다 EN의 지속시간이 길게 되면, Flip Flop은 여러 차례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따라서 예측하지 못한 동작을 할 여지가 있습니다.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한 방법으로 Edge Trigger가 있습니다. EN을 쓰는 방법을 Level Trigger라고 부릅니다.
- Edge Trigger: Clock이 0 -> 1(Leading Edge), 1 -> 0(Trailing Edge)으로 변하는 순간에만 입력을 받아들이게 하는 방법.
- 일반적으로 Edge Trigger를 해야 Flip Flop이라 부르고, Level Trigger or 클록을 사용하지 않으면 Latch라고 부릅니다.
'Electric > Digital Logic Circu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5. 동기순서논리회로(Synchronous Sequential Logic Circuit) (0) | 2024.07.28 |
---|---|
14. D Flip Flop, JK Flip Flop, T Flip Flop (0) | 2024.07.28 |
12. 조합논리회로 - 2(Combination Logic Circuit - 2) (0) | 2024.07.27 |
11. 조합논리회로 - 1(Combination Logic Circuit - 1) (0) | 2024.07.27 |
10. 논리식의 간소화(Simplification of Logical Expressions) (0) | 2024.07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