엔지니어가 되고 싶은 공돌이
01. 저항(Resistance) 본문
1. 1. 저항(Resistance)
- 저항(Resistance): 도체 안에서 자유전자의 흐름을 억제하는 물질의 성질.
- 저항기(Resistor): 저항의 특성을 가지는 소자.
R = ρL / A [Ω]. [ρ: Resistivity, L: Length of Conducting Wire, A: Area of Conducting Wire]
- 전도율(Conductance): 전자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정도.
G = 1 / R [S -> Siemens].
- 고정저항(Fixed Resistor): 특정한 저항값으로 고정되어 생산되는 저항기.
- 가변저항(Variable Resistor): 저항값을 임의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저항기.
- 저항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EIA Color Code Method, Alphanumeric Method 가 있습니다.
1) EIA Color Code Method: 보통 4색 띠를 많이 쓰며, 첫 번째 띠는 저항값의 유효숫자 첫 자리, 두 번째 띠는 저항값의 유효숫자 둘째 자리, 세 번째 띠는 10n을 나타내며, 네 번째 띠는 허용오차를 나타냅니다.
5색 띠이면, 첫 번째 띠는 저항값의 유효숫자 첫 자리, 두 번째 띠는 저항값의 유효숫자 둘째 자리, 세 번째 띠는 저항값의 유효숫자 셋째 자리, 네 번째 띠는 10n을 나타내며, 다섯 번째 띠는 허용오차를 나타냅니다.
6색 띠는 5색띠에 온도계수(Temperature Coefficient)를 추가한 것입니다.
2) Alphanumeric Method: 저항기는 그 크기가 매우 작아지면 색으로 구별하기 힘들어져 숫자를 이용해 저항값을 표현합니다. 숫자가 3자리이면 첫 번째, 두 번째 숫자로 유효숫자를 세 번째 숫자로 10n을 표현합니다.
만약 R17이면 0.17Ω을, 1R7이면 1.7Ω을, 1K2이면 1.2KΩ을 나타냅니다.
숫자가 4자리이면 유효숫자를 3개의 숫자로 표현하고, 마지막 숫자로 10n을 표현합니다.
- 멀티미터(Multimeter): 회로의 저항, 전류, 전압을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기본적인 측정장비.
- 함수발생기(Function Generator): sine wave, square wave등과 같이 다양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장비.
- 오실로스코프(Oscilloscope): 전압의 파형을 화면에 보여주는 측정 도구.
'Electric > Electric & Electronics Lab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6. OP-AMP: Operational Amplifier (0) | 2024.08.03 |
---|---|
05. Inductor, RLC Circuit (0) | 2024.08.02 |
04. 정현파, 실효치, 커패시터(Sinusoidal Waveform and Effective Value and Capacitor) (0) | 2024.08.01 |
03. 직렬과 병렬회로(Series and Parallel Circuits) (0) | 2024.07.31 |
02. 전류와 전압(Current and Voltage) (0) | 2024.07.30 |